티스토리 뷰

부동산

유동성

목표를 위해 2023. 12. 11. 23:25

 

부동산을 공부하다 보면 유동성이 많다 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을 것이다.

시중에 유동성이 많다라는 건 돈의 양이 많아졌다는 뜻이다.

돈의 양이 많으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실물 자산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.

 

짜장면 가격이 2014년도에 4,500원 하던것이 2023년에는 7천원이 되었다.

2014년 짜장면 값

 

2023년 짜장면 값

 

 

위의 표는 한국소비자원 사이트의 외식비 메뉴에서 확인 할 수 있다. https://www.price.go.kr/tprice/portal/servicepriceinfo/dineoutprice/dineOutPriceList.do

 

그럼 시중에 풀린 현금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어디서 확인 할 수 있을까?

여기서 잠깐!

M2 는 시중에 풀린 현금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고, M1보다 넓은 범위의 지표로 '광의통화' 라고도 한다. (M1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.)

 

미국의 M2는 https://fred.stlouisfed.org/series/M2 에서 확인 가능하다.

 

한국의 M2는 https://tradingeconomics.com/south-korea/money-supply-m2 에서 확인 가능하다.

 

 

자본주의 시스템이 붕괴하지 않는 한 통화량은 계속 증가될 수 밖에 없다.

 

 

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